There is greatjoy in the church!

 

하나님 앞에서 공부하는 자녀들!

 

Views : 1193
2012.02.17 (09:19:04)

 

 

자립심 모자라, 늘 의존하려고만 듭니다

 

 

문 : 자립심이 모자라 늘 의존하려고만 듭니다.

같은 유치원에 다니는 친구들과는 잘 노는데 이웃집 아이들과는 사귀지를 못합니다. 가게에 갈 때에도 항상 같이 가자고 조릅니다. 자신이 하는 일보다 남이 해 달라고 자주웁니다. 어떻게 지도해야 될까요?

 

 

답 : 스스로 하는 일에 격려와 칭찬으로 자립심을 키워 주세요

자립심이 모자라는 경향은 요즘아이들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입니다. 가정마다 한두 자녀만 낳고 빨리 단산함으로 인해 대부분의 부모들이 과잉보호하게 되는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아이들로 하여금 자립심을 키우도록 하려면 엄마가 아이에게 제공하는 여러 가지 서비스를 줄이는 대신 그것들을 아이 스스로 해 보도록 자극하고 격려해 주는 일입니다. 어느 것이나 갑작스러운 훈련은 아이에게 어려움을 주니까 서서히 단계적으로 훈련을 시키도록 해야 하지요. 아이 스스로 샐행할 수 있는 몇 가지 항목을 설정해 놓고 그것을 잘 실천하면 상을 주는 방식으로 아이의 자립 훈련을 시도해 보시기 바랍니다.

처음에는 실수를 하더라도 아이들은 어떠한 과제든지 쉽게 적응하게되고 또한 어른의 생각보다 휠씬 더 휼륭한 자질을 보일 수 있는 것이 아이들의 자립 훈련입니다.

 

일단 한 가지 일부터 아이 스스로 하도록 유도해 보십시오. 아마 엄마의 생각보다 더 기특하게 어른만큼 해낼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가사를 돕는 일도 시키십시오. 아이들이라도 가사를 돕게 하는 것은 여러 가지 교육적 효과가 있기 때문입니다. 가사를 돕는 일은 자립 훈련의 기본의 되면서 가족의 응집력도 높을 수 있고 상부 상조하는 정신도 길러 주며 자긍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더 크면 요리도 할 수 있고, 총소 빨래도 할 수 있고 여러 가지 도구도 다를 수 있으며 학업 준비와 수행도 할 수 있게 됩니다.

 

자립심 훈련을 촉진시킬 수 있는 심리적 배경은 엄마의 사랑과 신뢰와 격려입니다. 이것이 모자라면 아이의 자립심은 늦엊게 되지요. 혹시 아이의 의존성이 엄마의 사랑을 요구하기 위한 의사 표헌인 것 같으면 넉넉한 사랑을 주도록 노력헤 보십시오. 엄마의 아낌없는 사랑이 아이의 의존성을 치유해 줄 것입니다.

 

 

 

상담 : 서봉연 교수(서울대 심리학과) 

참고문헌 : 자연과 어린이(국민서관)

 

 

 

 

목동교회에 오신 여러분을 축복합니다!

No. Subject Nick Name col_read Registered Date
31 다시 돌아온 문제아 아들 어떻게 대해야 할까요?
큰기쁨
639 May 6, 2016
30 주의가 산만하여 말을 듣지 않는 아이, 어떻게 할까요?
큰기쁨
679 May 9, 2015
29 자녀를 올바르게 가르치려면...
큰기쁨
716 Sep 6, 2014
28 아이가 자주 화를 내서요...
큰기쁨
811 May 11, 2014
27 매일 게임을 3시간씩이나 하는 아이!
큰기쁨
999 Jan 29, 2014
26 사춘기 아들, 어떻게 할까요??
큰기쁨
1353 Sep 28, 2013
25 신경질의 사춘기 딸, 어떻게할까요?
큰기쁨
1501 Jul 13, 2013
24 소아비만인 아들,기를 살려주고 싶어요!
큰기쁨
975 Apr 20, 2013
23 훈계, 어떻게 해야할까??
큰기쁨
1335 Feb 22, 2013
22 사고뭉치 "문제아" 아들
큰기쁨
1522 Jan 25, 2013
21 매사에 자신 없고 지나치게 책임감 많은 아이...
큰기쁨
1216 Nov 22, 2012
20 경쟁의식 강하고 배려심 없는 우리 아이를 어떻게 할까요?
큰기쁨
3298 Aug 11, 2012
19 아들이 자꾸만 욕을 하는데 어쩌면 좋을까요?
큰기쁨
1538 Jul 6, 2012
18 말 안듣고 반항적인 아들 때문에 너무 힘이 들어요.
큰기쁨
2301 Jun 29, 2012
17 아이가 도벽이 생겼어요...
큰기쁨
1486 Jun 10, 2012
16 공부를 배우기 시작했는데...싫어할때는?
큰기쁨
1393 May 4, 2012
15 자녀의 교육문제로 시어머니와 의견이 다를 때
큰기쁨
1462 Apr 13, 2012
14 그냥 학교(유치원) 가기 싫다고 해요~.
큰기쁨
1512 Mar 30, 2012
13 나는 몇점 아빠인가 File
큰기쁨
1279 Mar 16, 2012
12 아이가 가장 듣기 싫은 말/가장 듣고 싶은 말
큰기쁨
1891 Mar 9, 2012
Tag List


XE Login